맨위로가기

레미제라블 (1982년 영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레미제라블 (1982년 영화)는 빅토르 위고의 소설을 원작으로 한 영화로, 장발장의 파란만장한 삶과 그를 둘러싼 인물들의 이야기를 다룬다. 영화는 장발장의 출소 장면으로 시작하여 원작 소설의 주요 줄거리를 따르지만, 몇몇 장면과 설정에서 차이점을 보인다. 리노 벤추라가 장발장 역을, 미셸 부케가 자베르 역을 맡았으며, 1983년 세자르 영화제에서 장 카르메가 남우조연상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레 미제라블을 바탕으로 한 영화 - 레 미제라블 (1998년 영화)
    1998년 개봉한 영화 《레 미제라블》은 빅토르 위고의 동명 소설을 원작으로 리암 니슨과 제프리 러시가 각각 장발장과 자베르 역을 맡아 19세기 프랑스의 사회적 불평등과 혁명 정신을 배경으로 장발장의 삶과 자베르의 추적을 그린 작품이다.
  • 레 미제라블을 바탕으로 한 영화 - 레 미제라블 (1995년 영화)
    레 미제라블 (1995년 영화)는 클로드 를루슈가 감독하고 빅토르 위고의 소설을 각색하여 앙리 포르탱의 일대기를 제2차 세계 대전을 배경으로 그린 영화이며, 장 폴 벨몽도 등이 출연하고 프랑스 박스 오피스 1위를 기록했다.
  • 1982년 영화 - 48시간
    48시간은 1982년 개봉한 미국의 액션 코미디 영화로, 탈옥수와 형사가 48시간 동안 파트너가 되어 사건을 해결하는 과정을 담고 있다.
  • 1982년 영화 - SAS 특공대
    《SAS 특공대》는 1982년에 개봉한 영화로, 영국 SAS가 테러 단체에 잠입하여 인질 구출 작전을 펼치는 내용을 담고 있으며, 핵무기 철폐 운동 시위를 테러리스트로 묘사하여 비판을 받기도 했다.
  • 프랑스의 드라마 영화 - 더 트리
    더 트리(The Tree)는 2010년 개봉한 줄리 베르투첼리 감독의 영화로, 남편을 잃은 던 오닐 가족이 거대한 나무와 교감하며 슬픔을 극복하는 과정을 그린 작품이다.
  • 프랑스의 드라마 영화 - 피아노 (1993년 영화)
    제인 캠피언 감독의 영화 《피아노》는 선택적 함구증을 가진 여성 아다가 딸과 함께 뉴질랜드로 이주하여, 피아노 연주로 감정을 표현하며 남편과 은퇴한 선원 사이에서 갈등하는 이야기를 그린, 여성의 억압과 자기표현을 다룬 작품이다.
레미제라블 (1982년 영화) - [영화]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영화 포스터
영화 포스터
원작레 미제라블 (1862년 소설) - 빅토르 위고
감독로베르 오셍
제작도미니크 하리스파루, 소피 폰 우슬라
각본알랭 드코, 로베르 오셍, 빅토르 위고
출연리노 벤추라
음악앙드레 오셍, 미셸 마뉴
촬영에드몽 리샤르
편집마르틴 바라케, 소피 보드
배급사GEF-CCFC
개봉일1982년 10월 20일
상영 시간200분
국가프랑스
언어프랑스어
영화제제13회 모스크바 국제 영화제 (1983)

2. 줄거리

영화는 원작 소설의 주요 줄거리를 따라가면서, 장발장의 파란만장한 삶과 그를 둘러싼 인물들의 이야기를 중심으로 전개된다.

2. 1. 원작과의 차이점

영화는 장발장의 출소 장면으로 시작하며, 이어서 오프닝 크레딧이 나오고 소설의 시작 부분에 해당하는 주교의 소개 장면으로 넘어간다. 자베르는 오프닝 장면에 등장하는데, 소설에서는 몽트뢰유에서 처음 등장한다. 팡틴은 몽트뢰유에서 소개되며, 파리에서의 과거는 생략되었다.

팡틴은 자베르가 발장을 체포하러 오기 전에 병으로 죽는다. 소설에서는 코제트가 도착하지 않았다는 사실과 자베르가 발장의 진짜 정체를 말해준 충격으로 팡틴이 죽는다. 발장은 다시 갤리선으로 보내지지 않고, 팡틴의 죽음 이후 자베르로부터 탈출한다. 발장이 관 속에서 수녀원을 탈출하는 장면은 생략되었다.

발장은 혼자 죽으며, 그의 죽음은 더욱 비극적으로 묘사된다. 마지막 장면은 감옥에서 풀려나는 발장의 회상 장면이며, 대사에 약간의 변화가 있다. 처음에는 자베르가 "당신은 자유입니다"라고 말하고, 두 번째는 "이제, 당신은 자유입니다"라고 말한다.

발장의 디뉴 도착 장면이 길게 묘사되며, 그는 심지어 여권에 도장을 받기 위해 시청에 들어가는 모습까지 보여진다. 쁘띠 제르베가 등장한다. 발장이 포슐르방에게서 수레를 들어올리는 것을 보게 되며, 그가 나중에 그를 파리의 수녀원으로 보냈다는 것을 알게 된다.

발장을 알아보는 세 명의 죄수(브레베, 셰닐디외, 코슈파유)의 이름을 바꾸지 않고, 발장이 책과 동일한 방식으로 자신의 신원을 증명한다. 발장은 책과 같은 이유로 수녀원을 떠난다. 고르보 하우스에서의 습격이 포함되었으며, 책과 거의 똑같은 방식으로 일어난다.

마리우스코제트의 로맨스는 책과 거의 같은 방식으로 진행된다. 자베르가 다리를 향해 마차를 타는 장면에서 자베르는 지방 장관에게 보내는 편지를 낭독한다. 발장은 결혼식 후 마리우스에게 자신의 정체를 고백하고, 마지막에 슬픔으로 죽는다. 대부분의 대사는 책에서 그대로 가져왔다. 몇몇 장면은 시대착오적이지만, 전반적인 인상은 매우 어둡고 불길하며 책과 매우 잘 어울린다.

3. 등장인물


  • 리노 벤추라 - 장 발장 역: 빵 한 조각을 훔친 죄로 19년간 감옥살이를 한 후 가석방된 영화의 주인공이다.
  • 미셸 부케 - 자베르 경감 역: 장발장을 쫓는 냉혹한 경감으로, 법과 정의를 맹신하는 인물이다.
  • 에블린 부아 - 팡틴 역: 코제트의 어머니로, 가난과 질병으로 비극적인 최후를 맞이한다.
  • 크리스티안 장 - 코제트 역: 팡틴의 딸로, 테나르디에 부부에게 학대받다가 장발장에 의해 구원받는다.
  • 프랑크 다비드 - 마리우스 역: 혁명에 가담하는 청년으로, 코제트와 사랑에 빠진다.
  • 발렌틴 보르들레 - 코제트(어린 시절) 역
  • 장 카르메 - 테나르디에 역
  • 프랑수아즈 세니에 - 테나르디에 부인 역
  • 캉디스 파투 - 에포닌
  • 아가트 라드너 - 에포닌(어린 시절) 역
  • 에마뉘엘 퀴르틸 - 가브로슈
  • 에르베 퓌리크 - 앙졸라 역 (에르베 풀리크(Hervé Fulric)로 표기)
  • 루이 세니에 - 미리엘 주교
  • 페르낭 르두 - 길르노르망 역
  • 폴 프레보 - 포슈르방 역
  • 코린 다클라 - 아젤마 역
  • 카트린 디 리고 - 아젤마(어린 시절) 역 (캐슬린 디 리고(Kathleen Di Rigo)로 표기)
  • 로뱅 르누치 - 쿠르페락 역
  • 크리스티앙 베네데티 - 콩브페르 역 (크리스티앙 베네데티(Christian Bénédetti)로 표기)
  • 토니 조드리에 - 보쉬에 역
  • 크리스토프 오덩 - 바오렐 역
  • 알렉상드르 타마르 - 그랑테르 역
  • 로제 아냉 - 여관 주인 역
  • 나탈리 네르발 - 길르노르망의 딸 역
  • 마르틴 파스칼 - 수녀원장 역
  • 알린 베르트랑 - 마그로아 부인 역
  • 마들렌 부셰 - 바티스틴 양 역
  • 비비안 엘바즈 - 심플리스 수녀 역
  • 도미니크 다브레이 - 라 마뇽 역
  • 클로드 랑슬로 - 바마타부아 역
  • 데니 라방 - 몽파르나스 역
  • 장-레네 고사르 - 클라크수 역 (장-레네 고사르(Jean-René Gossard)로 표기)
  • 자크 블랄 - 프티 제르베 역
  • 도미니크 자르디 - 셰니디외 역

3. 1. 주요 인물


  • 리노 벤추라 - 장 발장 역: 빵 한 조각을 훔친 죄로 19년간 감옥살이를 한 후 가석방된 영화의 주인공이다.
  • 미셸 부케 - 자베르 경감 역: 장발장을 쫓는 냉혹한 경감으로, 법과 정의를 맹신하는 인물이다.
  • 에블린 부아 - 팡틴 역: 코제트의 어머니로, 가난과 질병으로 비극적인 최후를 맞이한다.
  • 크리스티안 장 - 코제트 역: 팡틴의 딸로, 테나르디에 부부에게 학대받다가 장발장에 의해 구원받는다.
  • 프랑크 다비드 - 마리우스 역: 혁명에 가담하는 청년으로, 코제트와 사랑에 빠진다.

3. 2. 조연

4. 한국어 더빙

4. 1. MBC (1984년)

1984년 10월 18일부터 10월 19일까지 MBC에서 방영되었다.

4. 2. SBS (1995년)

1995년 12월 25일 SBS에서 방영되었다. 성우진: 김현직 - 장발장(리노 벤추라), 이완호 - 자베르(미셀 부케), 성유진 - 코제트(크리스티안 진), 홍성헌 - 마리우스(프랭크 데이빗), 강희선 - 판틴(에블린 부아) / 에포닌(캔디스 파투), 황원 - 포슈르방(폴 프레부아), 임종국 - 미리엘 주교(루이스 시너) / 질노르망(페르낭 르두), 김민규 - 재판장(르네 고근), 정민희 - 감독관(로즈 티에리), 김숙 - 원장 수녀(마틴 파스칼), 김정희 - 마리우스의 고모(나탈리 네르발), 최옥희 - 테나르디에 부인(프랑수아즈 세니에르), 이종오 - 테나르디에(장 카르메), 유해무 - 코슈파유(자크 브레쿠르), 신흥철 - 독수리(토니 주드리에) / 슈닐디외(도미니크 자르디), 장승길 - 브르베(레이우드 스튜더), 이윤연 - 바오넬(크리스토퍼 오덴트) / 변호사(장 피에르 베르나르), 유동현 - 코어페이락(로빈 레누시), 김영훈 - 앙졸라(에르베 푸릭), 지미애 - 가브로쉬(알렉상드르 타마르), 이대영 - 콩브페르(크리스티앙 베네데티)

5. 수상 내역

1983년 세자르 영화제에서 장 카르메가 남우조연상을 수상했다. 또한 같은 해 모스크바 영화제에서 로베르 오세인이 영화 기여 부문 특별상을 수상했다. 리노 반투라는 남우주연상, 로베르 오세인은 각색상, 에드몽 리샤르는 촬영상, 프랑수아 드 라모트는 미술상 후보에 올랐으나 수상에는 실패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